조사부장 집무실
  • Blog
  • Bulletin
  • About

일본국철의 도쿄 도심 배선도.

17/3/2015

댓글

 
서적자료다 보니 이렇게 인용하는거에 대해서 좀 거시기한 감은 있습니다만, 그래도 혼자만 쥐고 있기 보다는 좀 여러사람이 보는게 좋지 않나 싶어서 하나 찍어 올립니다. 쇼와 53년(1978년)의 도쿄도심 배선도입니다. 
Picture
도쿄 도심 배선약도(출전 : 사진 표기)
 이걸 이렇게 올려두는 건, 수도권의 국철사업이든, 지하철사업이든 간에 단순히 역을 붙이기만 하면 장땡이라는 식의 기조로 사업을 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 방향의 변경이 있어야 하지 않나 라는 생각에서 입니다. 이렇게 전체적인 배선망을 놓고, 이 선과 어느 선을 붙여야 하겠다, 또 도중에 차량의 비상우회나 유치같은 걸 생각하면서 노선을 계획하는게 아니라, 그냥 사업비를 최소화하고 공사하기 편한 대로 선을 계획하다 보니, 수도권 노선망이 병맛돋게 변질되는 그런 감이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게, 아마 이걸 예산절감사례랍시고 만든 자는 반드시 그 책임을 추급해야 한다고 보는데, 왕십리~청량리~망우 간의 배선을 그야말로 대충 해놓은 케이스를 들 수 있습니다. 직결운행을 안하더라도 왕십리역은 방향별 복복선으로 했다면 혼잡도를 크게 줄일 수 있었을 것이고, 부지 효율성도 확보할 수 있었을겁니다. 망우의 경우도 경춘선을 입체교차화 하지도 않고, 망우선과의 직결가능성을 전혀 염두에 두지 않은 결과, 1호선과 환승을 위해 두 번의 환승을 해야하고 ITX한번 지나갈때마다 중앙선의 지연이 누적되는 병신같은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비슷한 케이스가 경의선인데, 용산선을 지하화 하면서 배선에 대한 배려가 없다보니, 지하선구 도중에 차량고장이라도 나면 비상대피조차 시킬데가 없다시피 해서 응급운행 자체가 불가능한 구조가 되어 있다거나, 기껏 복복선을 파놓고서 이걸 평면교차하는 형태로 KTX를 보내야 한다거나 등등 병크가 사방에서 벌어지고 있다시피 합니다. 복복선 용량을 늘려놨건만 이걸 바보같은 배선으로 날려먹은 택이니.

 좀 종합적이고 거시적으로 선로를 보고 최소한 50년 이상의 향후를 보아야 할 사람들이 이런 선로구조를 계획하는 사람인데, 8, 90년대의 철도청 시절보다 지금의 선로계획이 외려 더 부실하지 않나 그런 생각도 듭니다. 
댓글
comments powered by Disqus

    blog v 2.0

    철도와 관련된 이것저것들. 
    혐한과 개는 출입 금지.

    Archives

    11월 2019
    10월 2019
    9월 2019
    8월 2019
    7월 2019
    6월 2019
    5월 2019
    4월 2019
    3월 2019
    2월 2019
    1월 2019
    12월 2018
    11월 2018
    10월 2018
    9월 2018
    8월 2018
    7월 2018
    6월 2018
    5월 2018
    4월 2018
    3월 2018
    2월 2018
    1월 2018
    12월 2017
    11월 2017
    10월 2017
    9월 2017
    8월 2017
    7월 2017
    6월 2017
    5월 2017
    4월 2017
    3월 2017
    2월 2017
    1월 2017
    12월 2016
    11월 2016
    10월 2016
    9월 2016
    8월 2016
    7월 2016
    6월 2016
    5월 2016
    4월 2016
    3월 2016
    2월 2016
    1월 2016
    12월 2015
    11월 2015
    10월 2015
    9월 2015
    8월 2015
    7월 2015
    6월 2015
    5월 2015
    4월 2015
    3월 2015
    2월 2015
    1월 2015
    12월 2014
    11월 2014
    10월 2014

    Categories

    모두
    1. 영업/정책
    2. 운영
    2a. 화물철도
    2b. 지방광역철도
    3. 기술
    4. 역사
    5. 건설
    6. 행려
    K. 남북
    M. 아이디어
    R. 차량
    S. 해외
    雜說

    RSS 피드

제공 사용자 정의할 수 있는 템플릿을 사용하여 자신만의 웹사이트를 만들어 보세요.